한국골프장경영협회

협회보도자료

(사)한국골프장경영협회, 골프장 안전점검 대비책 및 문체부-협회 합동회의 결과 논의

본문

 

2025. 11. 13

 

()한국골프장경영협회(회장 최동호)는 최근 국내 골프장에서 발생한 작업용 카트 추락사고를 계기로 지난 10월 한달간 전국 8(경기남부경기동부경기북부영남호남충청강원제주지역협의회를 순회하며 전국 골프장 안전점검 강화 지침과 함께 문체부·민간·협회 합동으로 진행 중인 대중형 골프장 지정제도 및 표준약관 개선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협회는 이번 조치가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하반기 정기 안전점검과 맞물려 진행되는 만큼 카트도로 안전관리·노후장비 교체·외주 인력 교육 강화를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회원사에 점검 시기·중점 점검 항목·주요 지적사항을 사전에 공유하여 대비책을 제시하였다.

 

점검항목에는 급경사·비탈면 가드레일 및 안전펜스 설치 여부노면 배수·미끄럼 방지 상태카트 브레이크·벨트 등 제동장치 점검코스 내 교량·옹벽 균열 여부경고표지·유도표지 설치 실태 등이 포함된다협회는 회원사에 반기별 자체 안전점검표 및 사진 증빙자료 제출을 안내하고 미제출 시 현장 실사 강화 대상에 포함된다고 공지했다.

 

협회 관계자는 최근 골프장에서의 각종 사고가 산업현장 수준에 버금갈 정도로 주목받고 있으며골프장 또한 단순 여가시설이 아닌 안전관리 체계를 갖춘 사업장으로 인식돼야 한다며 장비 · 시설의 체계적 관리는 물론외주 인력 및 이용자 안전까지 포함한 종합적 안전환경 조성이야말로 미래 골프장 운영의 핵심이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지난 9월 23일 문체부스포츠과학원민간단체캐디 대표 등이 참여한 대중형 골프장 지정제도 및 표준약관 개선’ 3차 합동회의에 참석한 회의 내용을 회원사와 공유했다.

 

문체부·협회·민간 합동회의에서 카트 선택제 캐디 선택제 결제 다변화 등 소비자 편의 중심의 제도개선 방안이 집중 논의됐으며 문체부는 카트·캐디 선택제를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협회는 지형적 특성과 안전사고 위험고용 불안정 문제 등을 이유로 도입 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선을 그었다협회는 또한 캐디피 카드결제 의무화에 대해서도 수수료 부담이 캐디 실질소득을 감소시키고고용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보완책 없는 확대에는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세무지원과 수수료 경감 방안이 병행될 경우 제한적 논의는 가능하다고 덧붙였다협회 관계자는 소비자 편익도 중요하지만현장의 안전과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더 근본적인 골프장 산업의 지속가능성이라며 정부와 협회가 균형 잡힌 제도 설계를 위해 지속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골프장경영협회 최동호 회장은 협회는 안전과 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모든 골프장이 이용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업계와 함께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현장관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이전글
한국골프장경영협회, 2026년 사업계획 및 예산총회 개최
다음글
한국골프장경영협회–그린잇, 골프장 디지털 전환 위한 MOU 체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26 (야탑동 한국골프회관 4층)
고객센터 : 031)781-0085~6   팩스 : 031)781-6686~7 신고번호 : J1516320140003

Copyright ⓒ KGBA All Rights Reserved